의 8장에서는 내 곁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진다. 수치심은 가족 관계 내에서 전해질 수 있다. 나의 부모나 조부모도 내가 수치심을 느끼는 일에 똑같이 수치심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구멍 난 자기감을 채우기 위해서 좋은 롤모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해내지 못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을 곁에 두고 지켜보는 것은 무척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내 생각 속에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 얼마나 많이 차지하고 있는가를 종이에 적고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8장 주변에 둘 사람 선별하는 법 가족으로부터 받은 수치심일 때가족 간의 상호작용은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될 수 있으며, 수치심 또한 마찬가지이다. 만약 당신의 부모 중 한 명이 어린 시절 불안함이나 수치심을 느끼는 상..
의 7장에서는 나의 수치심을 외면하거나 감추지 말고 그것을 드러내기를 권한다. 수치심을 일으킨 경험을 잊으려고 하고 피하려 할수록 수치심에 대한 저항감과 부담감이 더욱 커지고 고통을 일으킨다. 수치심을 일으킨 과거 경험을 떠올리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나의 수치심을 다른 사람에게 솔직하게 털어놓는 것은 나에게 더 큰 정신적인 자유를 가져온다. 7장 나의 수치심에 다가가는 법수치심을 느낀 장면을 떠올리고 상상으로 해결하기만약 부끄럽거나 수치심을 느껴서 떠올리고 싶지 않은 과거의 경험이 있다면, 그와 비슷한 종류의 경험에 매우 약해지게 된다. 어린 시절에 다른 사람에게 무시당하거나 놀림을 당했는데 그 상처를 아직 가지고 있다면, 현재의 삶에서 그와 비슷한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이 과거의 상처와 연..
의 6장에서는 나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스스로에게 따뜻한 관심을 주는 방법들을 알려준다. 다른 사람에게 나에 대한 미러링을 부탁하고, 나의 모습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관찰하고, 나라는 존재를 따뜻한 눈길로 바라봄으로써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도 괜찮다는 확신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습을 통해 예전에는 수치심을 느꼈을 상황에서도 이제는 안정감을 되찾을 수 있다. 6장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바라보는 법어린 시절 가정에서 나에 대한 관심과 미러링이 부족했다 해도 이제 내가 나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자기감 속 빈자리를 채워나가려는 노력을 할 수 있다. 내 주변 사람들에게 나에 대한 질문을 하고 그들의 대답을 통해 내가 미처 몰랐던 나를 발견할 수 있다. "내가 해야 할 프로젝트가 있는데 질문을 해도..
의 5장에서는 수치심을 감추기 위한 여러 가지 의식의 패턴들을 알려준다.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그런 자신에 대한 수치심을 느끼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우리의 의식은 가짜 자기를 만들어 표면에 내세운다. 수치심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가짜인 나를 알아차리고 이면에 숨어있는 진짜 나를 마주할 용기가 필요하다. 5장 수치심을 감추기 위한 가짜 나강하고 독립적인 나부모에게 받은 것이 거의 없는 사람은 그런 자신을 인정하는 것이 괴롭기 때문에 자신이 강하고 독립적이라는 거짓 자기의 가면을 쓰기 쉽다. 그러면 부모에게 버림받았다는 고통스러운 감정을 느끼지 않아도 되고 그런 자신에 대한 수치심도 가벼워지는 것 같기 때문이다. 나에게 문제가 있다는 느낌을 느끼면 자신이 너무 부족하고 부끄러운 존재라고 생각..